PEERLAB통합검색

통합검색 폼
닫기

HR 멘토링인사담당자들의 사이좋은 멘토링 서비스

  • 인사평가
  • 인사관리

저성과자 관리, 어떻게 하고 계세요?

지역 중소기업 인사담당자 입니다. 직원 300명 규모의 지역 중소기업이고, 인사팀 전체가 3명이다 보니 인사 각 기능들의 체계를 수립하고 운영해 나가는 것이 너무 어려운 상황입니다. 인사평가는 성과평가만 년 1회 진행되고, 역량평가는 진행하지 않습니다. 성과평가를 해서 S, A, B, C, D 5등급으로 진행되게 되는데, 조직차원에서 D등급은 사실 말 안해도 아시죠?ㅠㅠ
혹시 저성과자 관리를 실질적으로 어떻게 하시고 있는지, 관리상의 좋은 팁들이 있으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현재, 저희 조직 내부에서는 그 분들을 사실상 방치하고 있는 상황이고, 관리자급들에 의해 면담과 피드백도 진행되고 있지 않은 상황입니다. 구체적인 팁이 있으시면 꼭, 공유 부탁드립니다!
조회수 1282022-04-18 오후 2:14:21
프로필 이미지흐물흐물채택답변
안녕하세요.
저성과자 관리는 항상 회사에서 큰 이슈가 되는데,
성과평가에서 D등급으로 분류되는 분들께 평가 등급 공유가 되고 있는지,
부서 내 관리자의 일방적인 성과평가는 아닌지 먼저 확인해보시면 좋겠습니다.

저성과자인 분들이라도 피드백이 없는 경우 스스로는 굉장히 고성과를 내고 있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평가 등급을 정확히 밝힐 필요는 없겠으나 정확한 업무 피드백을 통해 정량적인 측면에서는 어느정도 개선 및 관리가
가능하니 꼭 면담과 피드백을 병행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또한, 저성과자에 해당하는 분들이 현재 맡고 있는 직무가 적성에 맞지 않거나
부서 내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내향적인 직원분들이 영업 등 외부 미팅이 많은 직무를 담당하고 있다면 아무래도 성과를 내기 어려울테고
부서장과 관계가 좋지 않거나 부서 내 업무가 과다하게 몰린 직원분이라면 능력대비 성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부서 이동을 통해 새로운 환경에 배치되는 것 만으로도 해결되는 경우가 많으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회사 인원대비 인사팀의 인력이 부족하여 모든 직원들의 고충을 들을 수는 없겠으나
직원 한명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굉장히 여러명의 의견을 듣는 과정이 꼭 필요합니다.

물론 오랜기간 평가가 좋지 않고 성과가 나지 않는 직원은 조직을 위해 권고사직 밖에 선택지가 없겠습니다만,
피곤하시더라도 점심, 휴게시간을 이용해서 많은 직원분들과 이야기를 나눠 보시는 것을 꼭 추천드립니다.

* 인사팀의 임직원 면담용 법인카드를 하나 받아서 사용하시면 서로 부담도 없고 좋습니다 :)
2022-04-20 오후 4:45:22

나의 멘토링 현황

고민글 남기기
TOP